알기쉬운 간괘효사

알기쉬운 간괘효사 는 주역64괘중 상괘인 간괘를 기준으로 여덟개의 하괘를 1건천 2태택 3리화 4진뢰 5손풍 6감수 7간산 8곤지의 순서로 나열하여 주역64괘의 괘사와 효사를 알기쉽고 빠르게 찿아 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산천대축(크게쌓다)

괘사(卦辭)

대축(大畜)이라는 것은 크게 쌓는다는 것이니 배양하고 비축하고 쌓는다는 의미이다.

산이라는 간괘와 하늘이라는 건괘의 만남이니 크고 높은 산의 상(象)이다.

그러므로 대축(大畜)괘를 얻으면 형통하다 할 것이다

효사(爻辭)

((上九)) 何天之衢 亨     (6爻動) 어찌 쌓을 것인가? 하늘길이 형통하다

((六五)) 豶豕之牙 吉     (5爻動) 돼지의 송곳니를 제거하니 길하다.

((六四)) 童牛之牿 元吉     (4爻動) 우리(牿)안에 어린소가 있으니 크게 길하다.

((九三)) 良馬逐 利艱貞 日閑輿衛 利有攸往     (3爻動) 좋은 말(馬)이 쫓아가는데 어려워도 곧아야 이로우며, 날마다 문을 잠그고 수레를 호위(護衛)하니, 고난(苦難)이 있어도 가야 이롭다.

((九二)) 輿說輹     (2爻動) 수레의 바퀴통이 벗겨졌으나 허물은 없다

((初九)) 有厲 利已     (1爻動) 위태로우니 정지하면 이롭다

산택손(손실이다)

괘사(卦辭)

손(損)이라는 것은 손해라는 것이니 덜어내고 잃고 상하고 감소하다의 의미이다.

산이라는 간괘와 연못이라는 태괘의 만남으로 물이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물이 고여 연못을 이루고 그 연못이 다시 산에게 이로움을 주는 산택통기의 상(象)이다.

그러므로 손(損)괘를 얻으면 손실이 되나,  나중에는 상부상조처럼 다시 되돌아 온다는 것이다

효사(爻辭)

((上九)) 弗損益之 无咎 貞吉 利有攸往 得臣无家     (6爻動) 덜지 않고 더하면 허물이 없으나 곧아야 길하다. 갈 곳이 있어 이롭고 신하를 얻으니 가정을 잊는다

((六五)) 或益之十朋之龜 弗克違 元吉     (5爻動) 혹 더하면 열명의 벗이니 거북이도 어길 수 없으니 크게 길하다

((六四)) 損其疾 使遄有喜 无咎     (4爻動) 그 병을 덜어 내는데 빨리 해야 기쁨이 있고 허물이 없다

((六三)) 三人行 則損一人 一人行 則得其友     (3爻動) 세 사람이 가면 한 사람을 덜어내고 홀로가면 벗을 얻는다

((九二)) 利貞 征凶 弗損益之     (2爻動) 곧아야 이롭고 나아가면 흉하다. 손실이 아니니 이익이다

((初九)) 已事遄往 无咎 酌損之     (1爻動) 일을 끝내면 빨리 가야 허물이 없다. 고려하여 덜어낸다

산화비(장식하다)

괘사(卦辭)

비(賁)라는 것은 꾸미는 것으로 장식하다의 의미이다.

산이라는 간괘와 화려하다는 리괘의 만남으로 산이 화려하다는 상(象)으로 산이 단풍의 계절 가을 만나 울긋불긋하게 단풍이 든 모습이다.

그러므로 비(賁)괘를 얻으면 꾸며야 할 일이 생긴다 할 것이다

효사(爻辭)

((上九)) 白賁 无咎     (6爻動) 하얗게 장식하니 허물이 없다

((六五)) 賁于丘園 束帛戔戔 吝 終吉     (5爻動) 언덕의 동산에 장식하는데 비단 묶음이 적어 부끄럽지만 마침은 길하다

((六四)) 賁如 皤如 白馬翰如 匪寇婚媾     (4爻動) 꾸밈이 백마가 날아가는 듯한데 도둑이 아니고 혼인을 청함이다

((九三)) 賁如 濡如 永貞吉     (3爻動) 꾸며서 윤택하니 오래 곧아야 길하다

((六二)) 賁其須     (2爻動) 그 수염을 꾸민다

​((初九)) 賁其趾 舍車而徒     (1爻動) 그 발을 꾸미니 수레를 버리고 걸어간다

산뢰이(양육하다)

괘사(卦辭)

이(頤)라는 것은 기르는 것이니 양육하고 봉양하고 대접하다의 의미이다.

산이라는 간괘와 소리라는 진괘의 만남으로 산 아래에서 소리가 나는 상(象)으로 이미 이루어지고 높은 산 속에서 소리가 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頤)괘를 얻으면 내부를 살펴보고 언행을 조심하고 절제해야 운(運)을 얻는다 할 것이다

효사(爻辭)

((上九)) 由頤厲吉 利涉大川     (6爻動) 턱으로 연유한 까닭이니 위태롭지만 길하다. 큰 내를 건너야 이롭다

((六五)) 拂經居貞吉 不可涉大川     (5爻動) 정도에 어긋나니 곧음의 머물러야 길하다. 큰 내를 건널 수 없다

((六四)) 顚頤吉 虎視耽耽 其欲逐逐 无咎     (4爻動) 턱이 내려오니 길하다. 범이 즐기며 그 야욕을 쫓으니 허물이 없다

((六三)) 拂頤 貞凶 十年勿用 无攸利     (3爻動) 턱을 어겼으니 곧아도 흉하며 십년을 쓰지 못하며 이로울 것이 없다

((六二)) 顚頤 拂經 于丘頤 征凶     (2爻動) 턱이 내려 온다. 언덕의 근본을 어기고 길러 나아가면 흉하다

((初九)) 舍爾靈龜 觀我朶頤 凶     (1爻動) 신령스러운 거북을 버리고 나의 움직이는 턱을 보니 흉하다

산풍고(감당하다)

괘사(卦辭)

고(蠱)라는 것은 벌레라는 것으로 대신하고 감당하다의 의미이다.

산이라는 간괘와 바람이라는 손괘의 만남이니 산속에서 바람이 불고 있는 상(象)으로 어떤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난다는 것이니 고(蠱)라 했다.

그러므로 고(蠱)괘를 얻으면 위태롭고 어려운 어떤 일이 생기고 드러난다는 것이며 그 일이 지저분하고 감당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효사(爻辭)

((上九)) 不事王侯 高尙其事     (6爻動) 임금의 일보다 그 일을 오히려 높인다

((六五)) 幹父之蠱 用譽     (5爻動) 아버지의 일을 감당하는데 명예를 사용한다

((六四)) 裕父之蠱 往見吝     (4爻動) 아버지의 일을 느긋하게 한다. 나아가니 부끄럽다

((九三)) 幹父之蠱 小有悔 无大咎     (3爻動) 아버지의 일을 감당하는데 조금 후회가 있지만 큰 허물은 없다

((九二)) 幹母之蠱 不可貞     (2爻動) 어머니의 일을 감당한다. 곧으면 할 수 없다.

((初六)) 幹父之蠱 有子考无咎 厲終吉     (1爻動) 아버지의 일을 감당한다. 자식이 조사해야 허물이 없고 닦달해야 마침이 있고 길하다

산수몽(흐릿하다)

괘사(卦辭)

몽(蒙)이라는 것은 어둡다는 것이니 어리고 몽매하다는 의미이다.

산이라는 간괘와 구덩이라는 감괘의 만남으로 나아가면 산으로 막히고 물러나면 구덩이에 빠질 것 같으니 곤란하고 어두운 상(象)이다. 

그러므로 몽(蒙)괘를 얻으면 때를 기다리라는 것이니 움직임(動)보다 고요함(靜)에 운(運)을 있다는 것으로 때를 만나면 크게 형통하다 할 것이다

효사(爻辭)

((上九)) 擊蒙 不利為寇 利禦寇     (6爻動) 철부지를 공격하는데 도적이 되는 것은 이롭지 않고 도적을 막아야 이롭다

((六五)) 童蒙 吉     (5爻動) 아이같은 철부지이니 길하다

((六四)) 困蒙 吝     (4爻動) 철부지의 곤란함이니 부끄럽다.

((六三)) 勿用取女 見金夫 不有躬 无攸利     (3爻動) 여자를 취하여 쓰지 마라. 돈 많은 남자만 보니 몸을 보존하지 못하고 이로움이 없다

((九二)) 包蒙 吉 納婦吉 子克家     (2爻動) 철부지를 품어야 길하고 부인을 들이면 길하며 자식이 집안을 일으킨다

((初六)) 發蒙 利用刑人 用說桎梏 以往吝     (1爻動) 철부지를 계발(啓發)함은, 사람에게 형벌을 써서 질곡을 벗겨줌이 이로우니, 그로써 나가면 부끄러울 것이다.

중산간(정지하다)

괘사(卦辭)

간(艮)이라는 것은 그치는 것이니 움직임을 멈추고 정지하다라는 의미이다.

간괘는 산이고 멈무는 것으로 간괘가 중첩을 이루니 나아감이 험난하다는 상(象)입니다.

그러므로 간(艮)괘를 얻으면 움직임(動)보다 고요함(靜)에 운(運)이 있다 할 것이다

효사(爻辭)

((上九)) 敦艮 吉     (6爻動) 끝마침이 두터우니 길하다.

((六五)) 艮其輔 言有序 悔亡     (5爻動) 볼에서 그치고 말(言)에 순서가 있으니 후회가 없다

((六四)) 艮其身 无咎     (4爻動) 몸에서 멈추니 허물이 없다

((九三)) 艮其限 列其夤 厲薰心     (3爻動) 허리에서 멈추어 등뼈살이 벌어지니 위태로움에 마음을 태운다

((六二)) 艮其腓 不拯其隨 其心不快     (2爻動) 장딴지에 멈추어 따라감을 구조하지 못하니 마음이 불괘하다

((初六)) 艮其趾 无咎 利永貞     (1爻動) 발꿈치에서 멈추니 허물이 없으며 바름이 곧아야 이롭다

산지박(상처입다)

괘사(卦辭)

박(剝)이라는 것은 벗겨지고 상처를 입는 것이니 빼앗기고 쇠퇴하다의 의미이다

간괘와 곤괘의 만남으로 산이 땅에 붙어 있는 것으로 음효들이 올라와 위에 있는 하나의 양효를 벗겨내는 상(象)이다.

그러므로 박(剝)괘를 얻으면 상처입는 일이 있으니 나아감이 불리하다는 것이고 움직임(動)보다 고요함(靜)에 운(運)을 얻는다는 것이다

효사(爻辭)

((上九)) 碩果不食 君子得輿 小人剝廬     (6爻動) 큰 과실은 먹지 않아 군자는 수레를 얻지만 소인은 상처를 입는다

((六五)) 貫魚 以宮人寵 无不利     (5爻動) 물고기를 낚음으로써 총애를 받으니 불리하지 않다

((六四)) 剝牀以膚 凶     (4爻動) 마루의 표면까지 상처를 입으니 흉하다

((六三)) 剝 无咎     (3爻動) 상처를 입으나 허물은 없다

((六二)) 剝牀以辨 蔑貞凶     (2爻動) 함께함이 없어 마루의 몸통까지 상처를 입으니 흉하다

((初六)) 剝牀以足 蔑貞凶     (1爻動) 마루의 다리가 상처를 입으니 기울어져 흉(凶)하다